본문 바로가기
Big Data/Math

통계적 검정방법

by Wikinist 2023. 8. 9.

통계적 검정방법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주요 검정방법과 간단한 특징을 소개해 드릴게요:

통계적 검정방법

1. T-검정 (t-test): 두 집단의 평균 비교에 사용되며, 샘플 크기가 작을 때 유용합니다. 등분산 여부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나뉩니다.

  •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예를 들어, 어떤 신약이 복용되었을 때 그룹 A와 그룹 B의 평균 효과가 다른지 비교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즉, 두 그룹의 평균 차이가 우연에 의한 것인지 유의미한 차이인지 검정합니다.
  • 대응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 같은 개체 또는 그룹에서 두 가지 조건의 평균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훈련 프로그램 전후의 개인의 체력 차이를 조사할 때 적용될 수 있습니다.

2. 분산 분석 (ANOVA): 세 개 이상의 집단 평균 비교에 사용됩니다. 일원분산분석과 이원분산분석 등이 있으며, 그룹 간 차이의 유의성을 평가합니다.

  •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세 개 이상의 그룹 간 평균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세 가지 교육 방법의 성과를 비교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이원분산분석 (Two-Way ANOVA): 두 개의 독립 변수가 그룹 간 평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교육 방법과 성별이 시험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카이제곱 검정 (Chi-square test): 범주형 자료의 독립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정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때 사용됩니다.

  • 독립성 검정 (Test of Independence): 두 범주형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흡연 습관과 폐암 발병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경우에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적합도 검정 (Goodness of Fit test): 하나의 범주형 변수의 분포가 기대하는 분포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분포가 공정한 주사위의 기대 분포와 일치하는지 검정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4. 회귀 분석 (Regression analysis):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선형 회귀와 로지스틱 회귀 등이 있으며,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모델을 찾습니다.

5. 비모수 검정 (Non-parametric tests):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때 사용되며, 중앙값 비교나 순위 데이터 분석에 적합합니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크루스칼-왈리스 검정 등이 있습니다.

각 검정방법은 데이터와 연구 목적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유의수준과 검정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가설 검정은 주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떤 주장이나 가설이 옳은지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통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이때,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나타냅니다.

1. 귀무가설 (Null Hypothesis, H0): 귀무가설은 일반적으로 어떤 변화나 효과가 없다는 가설입니다. 즉, 어떤 처리나 조작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가정을 나타냅니다. 통계 분석을 통해 귀무가설이 기각되거나 받아들여지는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2. 대립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H1 또는 Ha): 대립가설은 귀무가설의 반대입니다. 변화나 효과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나타냅니다. 즉, 실험 또는 조작이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제시합니다. 대립가설을 검정 결과로 받아들이려면 충분한 통계적 근거가 필요합니다.

가설 검정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가설 설정: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하고, 어떤 효과 또는 변화를 확인하려는지 정의합니다.

2. 데이터 수집: 실험 또는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3. 통계 분석: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합니다. 이때, 적절한 통계적 기법을 선택하여 검정 통계량을 계산합니다.

4. 유의수준 설정: 유의수준(허용 오류 범위)을 결정합니다. 이는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됩니다.

5. 결과 해석: 계산한 검정 통계량과 유의수준을 비교하여 귀무가설을 기각할지 채택할지 결정합니다. 만약 귀무가설이 기각된다면, 대립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가설 검정은 과학적 연구와 실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떤 주장이나 가설이 데이터에 기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예시

대립가설과 귀무가설을 예시를 통해 설명해보겠습니다.

가정: 한 약물이 수면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려고 합니다.

1. 귀무가설 (H0): 이 약물은 수면을 유발하는 효과가 없다.
   - 이 가설은 약물이 수면과 무관하다는 가정을 나타냅니다.
   - 어떤 차이나 효과가 발생한 것은 우연일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합니다.

2. 대립가설 (H1): 이 약물은 수면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 이 가설은 약물이 수면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을 제시합니다.
   - 어떤 차이나 효과가 발생한 것은 우연보다는 약물의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실험을 통해 이 가설들을 검정한다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 실험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면 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때,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했다면,
  - 만약, p-value (유의확률) 값이 0.03인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합니다. 이는 약물이 수면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만약, p-value 값이 0.08인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고, 대립가설을 기각합니다. 이는 충분한 통계적 근거가 없어서 약물의 수면 유발 효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특정 가설이 옳은지를 검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실험 결과에 따라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받아들이거나,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결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각역, 채택역, p-value

기각역, 채택역, 그리고 p-value는 가설 검정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들입니다. 이들은 가설 검정 결과를 해석하고 가설을 기각하거나 채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1. 기각역 (Rejection Region): 기각역은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특정 유의수준 아래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기 위한 검정 통계량의 범위입니다. 만약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에 속한다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됩니다. 기각역은 통계적 기법과 가설 검정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는 유의수준과 관련이 있습니다.

2. 채택역 (Acceptance Region): 채택역은 귀무가설을 채택하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검정 통계량이 기각역에 속하지 않을 경우, 즉 채택역에 속할 경우에는 귀무가설을 채택하게 됩니다. 채택역은 기각역의 보완적인 영역으로 정의되며, 두 영역을 합하면 전체 가능한 검정 통계량의 범위가 됩니다.

3. p-value: p-value는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얻은 검정 통계량의 결과가 귀무가설을 지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작은 p-value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강력한 증거를 나타내며, 큰 p-value는 귀무가설을 받아들이는 증거를 나타냅니다. p-value는 유의수준과 비교하여 귀무가설을 기각할지 채택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p-value가 유의수준보다 작을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됩니다.

이들 개념은 가설 검정 과정에서 통계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기각역과 채택역은 검정 통계량의 범위를 나타내며, p-value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귀무가설의 지지 정도를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가설 검정 결과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가설을 받아들이거나 기각할 수 있습니다.

p-value는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사용되는 값으로,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얻은 검정 통계량의 결과가 귀무가설을 지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입니다. p-value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1. 검정 통계량 계산: 먼저, 주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가설 검정에 적합한 검정 통계량을 계산합니다. 검정 통계량은 표본 데이터의 분포를 바탕으로 계산되며, 해당 검정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귀무가설 가정 하에서의 분포 계산: 귀무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할 때, 검정 통계량의 분포를 계산합니다. 이는 귀무가설의 가정 하에서 어떤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분포는 검정 방법과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 p-value 계산: 계산한 검정 통계량의 분포에서 실제로 관찰된 검정 통계량과 같거나 더 극단적인 값들이 나타날 확률을 계산합니다. 이 확률이 바로 p-value입니다. 

4. p-value 해석: 계산된 p-value를 사용하여 귀무가설을 평가합니다. 작은 p-value는 귀무가설이 옳을 확률이 낮음을 의미하며,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큰 p-value는 귀무가설이 옳을 확률이 높음을 나타내며, 데이터가 귀무가설과 잘 일치한다는 증거를 제공합니다.

p-value 계산은 통계 소프트웨어나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실제 계산은 복잡한 수학 및 통계학적 원리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며, 특정 검정 방법과 데이터 유형에 따라 다양한 공식과 계산 절차를 사용합니다. 주의할 점은 p-value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해당 검정 방법과 유의수준과 함께 고려하여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해당 게시글은 ChatGPT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Big Data >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검정  (0) 2023.08.09
확률 모형과 확률분포  (0) 2023.08.09
공분산과 상관계수  (0) 2023.08.08
통계에서의 정규화  (0) 2023.08.08
4분위수(Quartiles)  (0) 2023.08.07